맨위로가기

소흥 (남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흥(紹興)은 남송 고종이 1131년 1월 31일에 개원하여 1162년 12월 23일까지 사용한 연호이다. 이 기간 동안 남송은 금나라와 화의를 맺고, 수도를 임안으로 정하는 등 주요 사건들을 겪었다. 소흥 32년에는 효종 즉위와 함께 융흥으로 연호를 변경하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송나라의 연호 - 개희
    개희는 남송 영종의 연호로 1205년부터 1208년까지 사용되었으며, 이 시기 금나라, 서하의 연호와 함께 남송에서는 북벌 실패와 반란 등으로 혼란스러운 상황이 전개되다 화의 후 연호가 가정으로 바뀌었다.
  • 송나라의 연호 - 건흥 (북송)
    건흥은 북송의 연호로 1022년 2월 4일에 제정되어 1023년 1월 25일에 천성으로 개원되었다.
소흥 (남송)
소흥(紹興)
국가남송
연도1131년 ~ 1162년
사용 기간32년
이전 연호건염
다음 연호융흥
간지
시작 간지신해(辛亥)
종료 간지임오(壬午)

2. 연호 제정

남송 고종은 건염 5년 1월 1일[1](율리우스력 1131년 1월 31일)에 연호를 소흥(紹興)으로 개원했다.[2][3][4][5] 소흥 32년 11월 16일[6](율리우스력 1162년 12월 23일)에 연호를 융흥(隆興)으로 정하고, 다음 해 1월 1일[7](율리우스력 1163년 2월 5일)에 개원했다.[8][9][4][5]

3. 주요 사건

소흥 원년(1131년) 정월 초하루에 개원하고, 10월 26일에는 월주를 소흥부로 고쳤다. 소흥 8년(1138년) 2월 22일에는 임안이 정식 도읍이 되었다.

소흥 11년(1141년) 11월 21일, 금과 화약을 맺어 양국 관계를 군신 관계로 정하고 매년 세공을 보내기로 했다. 회수에서 대산관에 이르는 경계선이 국경으로 정해졌으며, 세공은 25만 냥, 25만 필이었다. 11월 26일에는 화약을 엄수하겠다는 고종의 맹세 표문이 금에 보내졌고, 12월 29일에는 악비가 처형되었다.

소흥 12년(1142년) 정월 9일 추밀행부가 폐지되었고, 3월 14일 회수를 건너 사적으로 왕래하는 것이 엄금되었다. 5월에는 회서, 경서, 섬서의 여러 길에 금과의 교역을 위한 각장이 설치되었고, 8월 29일 휘종의 재궁이 임안에 이르렀다. 11월 5일 경계법이 시행되었다.

소흥 15년(1145년) 정월 초하루, 남천 이래 처음으로 대조회례가 행해졌고, 11월 3일 신과 명법이 폐지되었다. 소흥 16년(1146년) 3월 1일 무학이 설치되었고, 9월 25일 시박사의 해상 무역을 권하는 조칙이 내려졌다.

소흥 20년(1150년) 4월 27일 역전과가 설치되어 강절, 복건의 백성을 모집하여 양회 지방의 한전을 경작하게 했다. 6월 21일 백성의 집회, 결사가 금지되었다. 소흥 21년(1151년) 2월 14일 여러 주에 혜민국을 설치하라는 조칙이 내려졌다.

소흥 22년(1152년) 7월 24일 겸주의 군인 제술이 반란을 일으켰으나, 11월에 제술은 주살되었다. 소흥 24년(1154년) 5월 1일 구주에서 난이 일어났으나, 8월 14일 평정되었다. 7월 24일 남단주 만의 추장을 시작으로 의주 경외의 여러 만이 귀순해 왔다.

소흥 25년(1155년) 10월 22일 재상 진회가 사망했다. 소흥 28년(1158년) 6월 8일 임안의 황성에 외성을 축조하여, 이 무렵 행재 임안의 건설은 대략 완료되었다.

소흥 31년(1161년) 2월 13일 임안에 행재 회자무가 설치되었다. 5월 19일 금의 사자가 남벌의 위협을 보이고, 흠종의 부보가 전해졌다. 9월 5일 금의 해릉왕이 이끄는 남벌군이 침공을 시작, 10월 27일 산동 근해에 출격한 송의 수군이 금의 함대를 격파했다. 11월 8일 우윤문이 장강 남안으로 쳐들어온 해릉왕의 친정군을 채석기 전투에서 격파했고, 11월 27일 해릉왕은 병변으로 살해되었다.

소흥 32년(1162년) 6월 11일 고종이 퇴위하고, 7월 13일 악비의 전 관직이 추복되고 유해를 개장했다. 10월 21일 오린이 이끄는 송군이 덕순군에서 금군의 공격에 패퇴했다. 11월 16일 효종의 즉위로 다음 해부터 "융흥"으로 유년 개원의 조칙이 내려졌다.

3. 1. 정치

소흥 원년(1131년) 정월 초하루에 개원하고, 10월 26일에는 월주를 소흥부로 고쳤다. 소흥 8년(1138년) 2월 22일에는 임안이 정식 도읍이 되었다.

소흥 11년(1141년) 11월 21일, 금과 화약을 맺어 양국 관계를 군신 관계로 정하고 매년 세공을 보내기로 했다. 회수에서 대산관에 이르는 경계선이 국경으로 정해졌으며, 세공은 25만 냥, 25만 필이었다. 11월 26일에는 화약을 엄수하겠다는 고종의 맹세 표문이 금에 보내졌고, 12월 29일에는 악비가 처형되었다.

소흥 12년(1142년) 정월 9일 추밀행부가 폐지되었고, 3월 14일 회수를 건너 사적으로 왕래하는 것이 엄금되었다. 5월에는 회서, 경서, 섬서의 여러 길에 금과의 교역을 위한 각장이 설치되었고, 8월 29일 휘종의 재궁이 임안에 이르렀다. 11월 5일 경계법이 시행되었다.

소흥 15년(1145년) 정월 초하루, 남천 이래 처음으로 대조회례가 행해졌고, 11월 3일 신과 명법이 폐지되었다. 소흥 16년(1146년) 3월 1일 무학이 설치되었고, 9월 25일 시박사의 해상 무역을 권하는 조칙이 내려졌다.

소흥 20년(1150년) 4월 27일 역전과가 설치되어 강절, 복건의 백성을 모집하여 양회 지방의 한전을 경작하게 했다. 6월 21일 백성의 집회, 결사가 금지되었다. 소흥 21년(1151년) 2월 14일 여러 주에 혜민국을 설치하라는 조칙이 내려졌다.

소흥 22년(1152년) 7월 24일 겸주의 군인 제술이 반란을 일으켰으나, 11월에 제술은 주살되었다. 소흥 24년(1154년) 5월 1일 구주에서 난이 일어났으나, 8월 14일 평정되었다. 7월 24일 남단주 만의 추장을 시작으로 의주 경외의 여러 만이 귀순해 왔다.

소흥 25년(1155년) 10월 22일 재상 진회가 사망했다. 소흥 28년(1158년) 6월 8일 임안의 황성에 외성을 축조하여, 이 무렵 행재 임안의 건설은 대략 완료되었다.

소흥 31년(1161년) 2월 13일 임안에 행재 회자무가 설치되었다. 5월 19일 금의 사자가 남벌의 위협을 보이고, 흠종의 부보가 전해졌다. 9월 5일 금의 해릉왕이 이끄는 남벌군이 침공을 시작, 10월 27일 산동 근해에 출격한 송의 수군이 금의 함대를 격파했다. 11월 8일 우윤문이 장강 남안으로 쳐들어온 해릉왕의 친정군을 채석기 전투에서 격파했고, 11월 27일 해릉왕은 병변으로 살해되었다.

소흥 32년(1162년) 6월 11일 고종이 퇴위하고, 7월 13일 악비의 전 관직이 추복되고 유해를 개장했다. 10월 21일 오린이 이끄는 송군이 덕순군에서 금군의 공격에 패퇴했다. 11월 16일 효종의 즉위로 다음 해부터 "융흥"으로 유년 개원의 조칙이 내려졌다.

3. 2. 군사/외교

소흥 원년(1131년) 정월 초하루, 연호가 제정되었다. 소흥 8년(1138년) 2월 22일, 임안이 정식 도읍이 되었다. 소흥 11년(1141년) 11월 21일, 금과 화약을 맺어 양국 관계가 군신 관계로 정해지고, 남송은 금에 매년 세공을 보내기로 하였다. 이때 회수에서 대산관에 이르는 경계선이 국경으로 정해졌으며, 세공의 내용으로는 25만 냥, 25만 필이 포함되었다. 12월 29일, 악비가 처형되었다.

소흥 12년(1142년) 5월, 회서, 경서, 섬서의 여러 길에 금과의 교역을 위한 각장이 설치되었다. 소흥 16년(1146년) 3월 1일에는 무학이 설치되었고, 9월 25일에는 시박사의 해상 무역을 권장하는 조칙이 내려졌다.

소흥 22년(1152년) 7월 24일, 겸주에서 군인 제술이 반란을 일으켰으나, 11월에 주살되었다. 소흥 24년(1154년) 5월 1일, 구주에서 난이 일어났으나, 8월 14일에 평정되었다. 소흥 25년(1155년) 10월 22일, 재상 진회가 사망하였다.

소흥 31년(1161년) 9월 5일, 금의 해릉왕이 이끄는 남벌군이 침공을 시작하였다. 10월 27일, 산동 근해에 출격한 송의 수군이 금의 함대를 격파하였고, 11월 8일에는 우윤문이 채석기 전투에서 장강 남안으로 쳐들어온 해릉왕의 친정군을 격파하였다. 11월 27일, 해릉왕은 병변으로 살해되었다. 소흥 32년(1162년) 7월 13일, 악비의 전 관직이 추복되고 그 유해가 개장되었다.

3. 3. 사회/문화

소흥 원년(1131년) 10월 26일, 월주를 소흥부로 고쳤다. 소흥 8년(1138년) 2월 22일에는 임안이 정식 도읍이 되었다.

소흥 11년(1141년) 11월 21일, 금과 화약을 맺어 양국 관계를 군신으로 정하고, 금에 매년 세공을 보내기로 하였다. 회수에서 대산관에 이르는 경계선이 국경으로 정해졌으며, 세공으로 25만 냥, 25만 필을 보내기로 하였다. 11월 26일에는 화약을 엄수하겠다는 고종의 맹세 표문이 금에 보내졌고, 12월 29일에는 악비가 처형되었다.

소흥 12년(1142년) 3월 14일, 회수를 건너 사적으로 왕래하는 것을 엄금하였다. 5월에는 회서, 경서, 섬서의 여러 길에 금과의 교역을 위한 각장(榷場)이 설치되었다. 8월 29일에는 휘종의 재궁이 임안에 이르렀다.

소흥 15년(1145년) 정월 초하루, 남천 이래 처음으로 대조회례가 행해졌고, 11월 3일에는 신과 명법을 폐지하였다. 소흥 16년(1146년) 3월 1일에는 무학이 설치되었고, 9월 25일에는 시박사의 해상 무역을 권하는 조칙이 내려졌다.

소흥 20년(1150년) 4월 27일, 역전과가 설치되어 강절, 복건의 백성을 모집하여 양회 지방의 한전을 경작하게 하였다. 6월 21일에는 백성의 집회, 결사를 금하였다. 소흥 21년(1151년) 2월 14일에는 여러 주에 혜민국을 설치하라는 조칙이 내려졌다.

소흥 22년(1152년) 7월 24일, 겸주의 군인 제술이 반란을 일으켰으나, 11월에 제술이 주살되었다. 소흥 24년(1154년) 5월 1일 구주에서 난이 일어났으나, 8월 14일 평정되었다. 7월 24일, 남단주 만의 추장을 시작으로 의주 경외의 여러 만이 귀순해 왔다.

소흥 28년(1158년) 6월 8일, 임안의 황성에 외성을 축조하여, 이 무렵 행재 임안의 건설이 대략 완료되었다.

4. 연대 대조표

소흥서기
(西紀)
간지
(干支)
금나라 연호서하 연호
원년1131년신해
(辛亥)
천회(天會) 9년정덕(正德) 5년
2년1132년임자
(壬子)
천회 10년정덕 6년
3년1133년계축
(癸丑)
천회 11년정덕 7년
4년1134년갑인
(甲寅)
천회 12년정덕 8년
5년1135년을묘
(乙卯)
천회 13년대덕(大德) 원년
6년1136년병진
(丙辰)
천회 14년대덕 2년
7년1137년정사
(丁巳)
천회 15년대덕 3년
8년1138년무오
(戊午)
천권(天眷) 원년대덕 4년
9년1139년기미
(己未)
천권 2년대덕 5년
10년1140년경신
(庚申)
천권 3년대경(大慶) 원년
소흥서기
(西紀)
간지
(干支)
금나라 연호서하 연호
11년1141년신유
(辛酉)
천권 4년
황통(皇統) 원년
대경(大慶) 2년
12년1142년임술
(壬戌)
황통 2년대경 3년
13년1143년계해
(癸亥)
황통 3년대경 4년
14년1144년갑자
(甲子)
황통 4년인경(人慶) 원년
15년1145년을축
(乙丑)
황통 5년인경 2년
16년1146년병인
(丙寅)
황통 6년인경 3년
17년1147년정묘
(丁卯)
황통 7년인경 4년
18년1148년무진
(戊辰)
황통 8년인경 5년
19년1149년기사
(己巳)
황통 9년
천덕(天德) 원년
천성(天盛) 원년
20년1150년경오
(庚午)
천덕 2년천성 2년
소흥서기
(西紀)
간지
(干支)
금나라 연호서하 연호
21년1151년신미
(辛未)
천덕(天德) 3년천성(天盛) 3년
22년1152년임신
(壬申)
천덕 4년천성 4년
23년1153년계유
(癸酉)
천덕 5년
정원(貞元) 원년
천성 5년
24년1154년갑술
(甲戌)
정원 2년천성 6년
25년1155년을해
(乙亥)
정원 3년천성 7년
26년1156년병자
(丙子)
정원 4년
정륭(正隆) 원년
천성 8년
27년1157년정축
(丁丑)
정륭 2년천성 9년
28년1158년무인
(戊寅)
정륭 3년천성 10년
29년1159년기묘
(己卯)
정륭 4년천성 11년
30년1160년경진
(庚辰)
정륭 5년천성 12년
소흥서기
(西紀)
간지
(干支)
금나라 연호서하 연호
31년1161년신사
(辛巳)
정륭 6년
대정(大定) 원년
천성(天盛) 13년
32년1162년임오
(壬午)
대정 2년천성 14년


5. 동시대 다른 국가의 연호

천덕 원년천덕 2년서하대경 3년대경 4년대경 5년인경 원년인경 2년인경 3년인경 4년인경 5년천성 원년천성 2년소흥21년22년23년24년25년26년27년28년29년30년서력 기원1151년1152년1153년1154년1155년1156년1157년1158년1159년1160년간지신미임신계유갑술을해병자정축무인기묘경진금나라천덕 3년천덕 4년천덕 5년
정원 원년정원 2년정원 3년정륭 원년정륭 2년정륭 3년정륭 4년정륭 5년서하천성 3년천성 4년천성 5년천성 6년천성 7년천성 8년천성 9년천성 10년천성 11년천성 12년소흥31년32년서력 기원1161년1162년간지신사임오금나라대정 원년대정 2년서하천성 13년천성 14년


5. 1. 중국

금나라(金)는 천회(1123년 ~ 1137년), 천권(1138년 ~ 1141년), 황통(1141년 ~ 1149년), 천덕(1149년 ~ 1153년), 정원(1153년 ~ 1156년), 정륭(1156년 ~ 1161년), 대정(1161년 ~ 1189년)의 연호를 사용했다.

서하(西夏)는 정덕(1127년 ~ 1134년), 대덕(1135년 ~ 1139년), 대경(1140년 ~ 1143년), 인경(1144년 ~ 1148년), 천성(1149년 ~ 1169년)의 연호를 사용했다.

대리국(大理國)은 보천(1129년 ~ 1137년), 광운(1138년 ~ 1147년), 영정(1147년 ~ 1148년), 대보(1149년 ~ 1156년), 용흥(1157년 ~ 1161년), 성명(1162년 ~ 1163년)의 연호를 사용했다.

서요(西遼)는 연경(1124년 ~ 1133년), 강국(1134년 ~ 1143년), 함청(1144년 ~ 1150년), 소흥(1151년 ~ 1163년)의 연호를 사용했다.

유제(劉齊)는 부창(1130년 ~ 1137년)의 연호를 사용했다.

그 외에도 양요가 대성천왕(1133년 ~ 1135년), 왕법은(王法恩)이 나평(1141년), 오라패극렬(熬羅孛極烈)이 천흥(1147년), 이랄와알(移剌窩斡)이 천정(1161년 ~ 1162년)의 연호를 사용했다.

소흥원년2년3년4년5년6년7년8년9년10년
서력 기원1131년1132년1133년1134년1135년1136년1137년1138년1139년1140년
간지신해임자계축갑인을묘병진정사무오기미경신
금나라천회 9년천회 10년천회 11년천회 12년천회 13년천회 14년천회 15년천권 원년천권 2년천권 3년
서하정덕 5년정덕 6년정덕 7년정덕 8년대덕 원년대덕 2년대덕 3년대덕 4년대경 원년대경 2년
소흥11년12년13년14년15년16년17년18년19년20년
서력 기원1141년1142년1143년1144년1145년1146년1147년1148년1149년1150년
간지신유임술계해갑자을축병인정묘무진기사경오
금나라황통 원년황통 2년황통 3년황통 4년황통 5년황통 6년황통 7년황통 8년황통 9년
천덕 원년
천덕 2년
서하대경 3년대경 4년대경 5년인경 원년인경 2년인경 3년인경 4년인경 5년천성 원년천성 2년
소흥21년22년23년24년25년26년27년28년29년30년
서력 기원1151년1152년1153년1154년1155년1156년1157년1158년1159년1160년
간지신미임신계유갑술을해병자정축무인기묘경진
금나라천덕 3년천덕 4년천덕 5년
정원 원년
정원 2년정원 3년정륭 원년정륭 2년정륭 3년정륭 4년정륭 5년
서하천성 3년천성 4년천성 5년천성 6년천성 7년천성 8년천성 9년천성 10년천성 11년천성 12년
소흥31년32년
서력 기원1161년1162년
간지신사임오
금나라대정 원년대정 2년
서하천성 13년천성 14년


5. 2. 베트남

티엔푸카인토(天符慶壽) (1127년), 티엔투언(天順) (1128년 ~ 1132년), 티엔쯔엉바오뜨(天彰寶嗣) (1133년 ~ 1138년), 티에우민(紹明) (1138년 ~ 1140년), 다이딘(大定) (1140년 ~ 1162년)은 이 시기 베트남에서 사용된 연호이다.

5. 3. 일본

1126년부터 1131년까지 다이지, 1131년부터 1132년까지 덴쇼, 1132년부터 1135년까지 조쇼, 1135년부터 1141년까지 호엔, 1141년부터 1142년까지 에이지, 1142년부터 1144년까지 고지, 1144년부터 1145년까지 덴요, 1145년부터 1151년까지 규안, 1151년부터 1154년까지 닌페이, 1154년부터 1156년까지 규주, 1156년부터 1159년까지 호겐, 1159년부터 1160년까지 헤이지, 1160년부터 1161년까지 에이랴쿠, 1161년부터 1163년까지 오호 등의 연호가 사용되었다.

참조

[1] 문서 신해년(辛亥年) 1월 기해일(己亥日)
[2] 서적 《송사》(宋史) 권26 〈본기〉(本紀) 제26 - 고종(高宗) 3 https://zh.wikisourc[...]
[3] 서적 《속자치통감》(續資治通鑑) 권109 〈송기〉(宋紀) 109 https://zh.wikisourc[...]
[4] 웹사이트 《송회요집고》(宋會要輯稿) 예(禮) 54 - 개원소(改元詔) https://zh.wikisourc[...]
[5] 웹사이트 천문우주지식정보 음양력변환 https://astro.kasi.r[...]
[6] 문서 임오년(壬午年) 11월 무신일(戊申日)
[7] 문서 계미년(癸未年) 1월 임진일(壬辰日)
[8] 서적 《송사》(宋史) 권33 〈본기〉(本紀) 제33 - 효종(孝宗) 1 https://zh.wikisourc[...]
[9] 서적 《속자치통감》(續資治通鑑) 권138 〈송기〉(宋紀) 138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